본문 바로가기
OSX

IT 노동자의 OSX 환경설정 - 프로그램 설치

by 레오티거하루빠 2021. 8. 3.

 

1. 회사에 왔으면 일을 해야지

 

집보다 회사에 있는 날이 더 많은 직장인은 하루의 루틴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아요.

 

회사에서 일하는데 편한 환경이 되어야 하는데 그건 사무실 공간이나 인간관계 등이 될 수도 있어요.

 

다만 먼저 언급한 부분은 개개인마다 차이도 있어서 저는 단순히 컴퓨터 환경 세팅에 대해서만 논할까 해요.

 

2. 무슨 대단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나요?

 

으리의리 하게 삐까뻔쩍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는 않아요.

 

무조건 무료 프로그램만 고집하지도 않아요.

 

필요하다면 유료도 회사의 지원을 받아서 사용중에 있어요. (Termius, Notion, Office365 정도)

3. 프로그램 소개해 주세요.

 

1. Notion
https://www.notion.so/ko-kr/desktop

웹 클리핑이나 기록의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notion 입니다.

 

초기에는 OSX 에서 제공하는 메모 어플을 많이 사용하였어요.

이 어플의 단점은 같은 애플 생태계가 아니면 접근하기가 너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어요.

간혹 외부에 나가서 OSX 환경이 아닌 상황이 발생할 때 접근하기가 너무 불편했어요.

 

그래서 에버노트로 갈아 타게 되었는데, 솔직히 특별히 기능상의 부족함은 없었어요. 다만 무료일 때, 동기화 할 수 있는 기계에 대한 대수 제한이 어느순간 업데이트가 되면서 정이 뚝 떨어지게 되더라구요.

 

마침 Notion이 눈에 확 들어오게 되면서 에버노트의 모든 기록을 가지고 넘어오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무료로 사용하다가 업무에 사용할 회의 기록이나, 첨부파일들이 많아지면서 회사에 요청하여 유료 모델로 사용중에 있어요.

2. Office365
https://www.office.com/

이건 없으면 일을 못해요.

 

아직도 화면기획 문서가 ppt 로 되어있는 경우도 허다하고, xls 형식으로 된 기획문서도 종종 나옵니다...

 

word로 된 제안서는 거의 무조건 입니다.

 

단순히 읽기 모드라면 라이센스를 안사도 되지만, 수정을 하려면 라이센스를 꼭 사세요.

구글드라이브에 문서를 첨부한 뒤 구글웍스에서 수정도 되긴 합니다.
정말 급할때 사용 가능해요.

 

3. Docker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개발에 손과 발을 담그고 있다면 많이 들어보셨을 docker 입니다.

 

전 docker을 아주 능숙하게 다루는 정도는 아니고, 간단히 docker-compose.yml 파일들을 만들어서 실행하는 정도만 할 줄 알아요.

 

docker 을 언제 많이 쓰게 되나면, RDBMS 설치에 많이 사용해요.

 

프로젝트 참여할 때 마다 RDBMS가 ORACLE, MYSQL, MARIADB, SQLSERVER, POSTGRESQL 등등 원하는게 막 다른데, 이걸 무작정 local 에다가 설치하면 나중에 감당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필요할 때 마다 docker 에다가 올려서 작업할 때만 사용하고 작업 끝나면 중지한 뒤 삭제해 버려요.

 

4. Termius
https://termius.com/mac-os

ssh client 에요. 그것도 아주 비싼.... (월 9.9달러 인가 그럴거에요 - 무료로 쓸 수도 있지만 권장하지는 않아요.)

 

remote ssh + sftp 까지 지원해 주는 프로그램이죠.

 

위 2가지 기능만 바라보고 이 프로그램을 쓰는거면, 돈을 길바닥에 버리는것과 같아요.

 

제가 이 프로그램을 선택한 이유는

 

첫번째는 다양한 OS 에서 지원 하는 어플이에요. (Windows, OSX, Linux, Android, iOS)

제가 직접 확인한건 Linux 을 제외하고는 다 써봤어요.

 

두번째는 로그인 한 계정에 접속정보가 동기화 되는 점이에요. 이건 첫번째 장점과 연계되는 항목인데요. A라는 ssh 정보를 저장해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고 있다가 집에와서 Termius 어플에 로그인 하면 A 라는 ssh 정보를 그대로 가져와서 집에서도 바로 접속할 수 있어요.

 

세번째는 저장된 ssh 정보를 이용하여 sftp 을 이용할 수 있어요.

 

제가 이 프로그램을 알기 전에는 FileZilla 을 이용하여 sftp을 접속하고, OSX 에서 지원하는 터미널.app을 이용해서 ssh 을 접속하였어요. 문제는 연차가 쌓이면서 관리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가 차츰차츰 증가하게 되니깐 접속할 서버를 찾아서 ssh 와 sftp을 실행하는것에 대하여 소모되는 시간이 너무 아까운 거에요. 그래서 방법이 없나 찾아보다가 이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가격은 비싸지만 이정도는 투자해도 될것 같아서 회사에 강력하게 어필하여 유료로 사용하고 있어요.

무료로 사용해도 ssh 은 쓸 수 있어요 (동기화X, SFTP X)

 

5. SourceTree
https://www.sourcetreeapp.com/

초창기에 버전관리로 SVN 을 사용하다가 GIT으로 넘어간 뒤에 GIT 을 좀 쉽게 관리하고 싶어서 찾다가 알게된 프로그램이에요.

 

도입 당시에 무료로 git 을 GUI 환경에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진 상태였기 때문에 큰 고민하지 않고 선택하여 지금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어요.

 

이 프로그램도 OSX 와 Windows 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사내에서 대부분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git 을 다루고 있어요.

 

6. Visual Studio Code
https://code.visualstudio.com/

이것은 IDE가 아닌 텍스트 에디터 입니다.

 

최근 nodejs 을 활용한 프로젝트가 종종 있는데, 해당 프로젝트에 이 에디터를 이용해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IntelliJ 에서 제공하는 WebStorm, PhpStorm 을 이용하면 nodejs개발을 더 쉽게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쪽 제품의 가격도 생각보다 비싸기 때문에 좀더 저렴한건 없을까 하다가 알아본게 이 프로그램 이에요.

 

이 제품은 단순 에디터이기 때문에 nodejs을 컴파일 하기 위한 환경은 별도로 구성을 해야 되요. 그 부분이 좀 신경쓰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어려운건 아니라서 참을만 해요.

 

7. Android Studio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전 안드로이드 개발자는 아니에요. 다만 모바일 웹으로 개발된 화면을 인앱 브라우저에 호출해서 하나의 어플로 만드는 정도 까지는 할 수 있는 딱 초보적인 개발자 에요.

 

안드로이드 어플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필수로 설치해야 되는 제품이에요.

 

8. Xcode
AppStore

아이폰 개발자도 아니에요. 안드로이드와 같이 인앱 브라우저에 호출해서 사용하는 앱을 만드는 정보만 할 수 있어요.

 

iOS 관련 프로젝트를 할 때는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에요.

 

9. Spring Tool Suite (Eclipse)
https://spring.io/tools

저의 메인 밥벌이인 Spring 개발을 위해서 사용하는 IDE 프로그램 입니다.

 

최근에는 nodejs 프로젝트가 많았기 때문에 구석에 밀려서 잘 사용하지 않지만,

 

거의 대부분의 개발 생활을 이 프로그램과 같이 하였기 때문에 지금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어떻게 해야될지 생각보다 손이 먼저 움직이고 있습니다.

 

곧 Spring 프로젝트에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킬 날이 머지 않았네요

 

 

 

댓글